티스토리 뷰
13월에 월급이라는 말이 있죠? 연말정산 소득공제 !
미리미리 잘 준비해서 13월 월급 받아보시는게 어떨까요?
준비 안해서 공제 받을 수 있는 걸 못 받으면 본인만 손해 입니다.
▼찾아볼 시간이 없다면 "바로가기" 를 이용하세요 !▼
연말정산 이란 무엇일까?
연말정산은 한마디로 " 한 해 동안 발생한 소득에 대한 세금을 결정하는 과정" 을 말합니다.
근로자의 경우, 매월 월급에서 세금이 미리 공제되는데 이것을 "원천징수"라고 말합니다.
원천징수는 개인의 소득을 '추정'하여 세금을 부과하는 것으로, 개인의 실제 소비 패턴이나 부양가족 등은 반영하지 않아서
한 해 동안 월급에서 공제된 세금이 실제 내야 할 세금보다 많거나 적을 수 가 있는데 이럴 경우, 연말에 다시 계산하여
세금을 추가로 납부하거나 환급받게 되는데 이것을 연말정산 이라고 합니다.
소득공제란 무엇일까?
소득공제는 과세의 대상이 되는 소득 중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하는 것입니다.
소득공제의 목적은 납세자에게는 세금의 부담을 덜어주고 최저생계비를 보장하는데 있습니다.
나의 소득에 대한 세금을 정할 때 1년간 번 총소득을 구하고 그 총소득에서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인데,
근로소득, 부양가족, 연금, 보험 등에 따라 세금을 원래보다는 조금만 낼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입니다.
연말정산 기간
1) 2024년 연말정산기간 : 2023년 소득에 대한 연말정산은 2024년 1월 ~ 2월
2) 2024년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오픈 : 2024년 1월 15일
3) 조회 안되는 의료비 신고 & 간소화 자료 추가제출 기간 : 2024년 1월15일 ~ 1월18일 까지
4) 연말정산 서비스 오픈 : 2024년 1월 18일
5) 공제 신고서 & 증빙자료 검토 기간 : ~ 2024년 2월 28일
6) 원천세 신고서 & 지금 명세서 제출 : 2024년 3월 11일
.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은 단순합니다.
1) 인적공제(기본+추가공제)
2) 국민연금 납부액
3) 주택임차차입금
4) 신용카드 등 사용액
소득공제의 항목은 인적공제나 신용카드 사용액등을 놓치면 적게는 수십만원에서 많게는 100만원도 넘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특히 인적공제가 제일 중요하니 꼭 챙기세요!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란?
국세청에서 모든 근로자들을 대신하여 각 기관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그 자료를 근로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바로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입니다.
연말정산 바로가기 서비스는 2024년 1월 15일 오픈예정입니다
연말정산 바로가기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다면 아래를 클릭해주세요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하는 방법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하는 방법을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위에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바로가기를 클릭! 하시면 아래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화살표를 누르고 아래 표시된 부분을 누르면 됩니다.
2023년 귀속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는 영수증 발급기관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2024년 1월15일 부터
제공한다는 알림이 있습니다.
2024년 1월 15일 제공이 되면 한번에 내려받기 눌러서 받으면 됩니다.
FAQ (자주묻는질문)
1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공인인증서 필요한가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서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을 하려면 공인인증서가 필요합니다.
2.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시 유의사항 있을까요?
1) 영수증 발급기관에 따라 국세청에 제공하지 않는 자료는 조회되지 않습니다.
2) 근로자 본인이 해당소득. 소득공제 영수증을 발급 받아야 합니다.
3) 부양가족 자료조회는 사전동의가 필요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